역사

7.삼국의 통치체재 - 대충 정리

CitronLemon 2017. 2. 28. 17:26

4세기

중국 전연, 동진


백제 침류왕이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했다.

백제 근초고왕 전성기이다.


광개토태왕이 신라 내물왕 도와주다. 왜로부터의 침략에서..

호우명그릇.


5세기


중국- 남북조시대


고구려 장수왕

-대외적으로는 균형외교를 지향한다.



신라 눌지 마립간 - 백제 비유왕 손 잡다


6세기

중국 - 북조와 남조, 수나라에 의해 통일


신라의 전성기

진흥왕

-순수비



통치체재

귀족회의- 왕권견제


고구려 제가회의

백제 정사

신라 화백회의 - 만장일치, 씨족사회의 전통을 잇고 있다.


전쟁시 - 막리지

발해 수상이름 대네상


신라 -상대등 - 통일신라에 들어가면 왕권과 상대등의 권력이 누가 쎄지냐에 따라 다름

상대등은 화백회의의 장


관등- 공무원


고구려 12관등 (소수림왕-개혁왕)

백제 16관등(고이왕)

신라 17관등(법흥왕)


법- 불법

율령에서 말하는 법은 불법


고구려의

수도 - 5부

지방 - 5부 - 지방관 옥산

촌 -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는다 . 알아서 함. 삼경


백제의

수도 - 5부 , 성왕이 나눔

지방 - 5방 , 지방관 - 방령

5방 밑에는 군, 더 밑은 촌

특수행정구역 - 22담로 무령왕


신라의

수도 - 6부 소지 마립간

지방 - 5주 지방관 - 주군 지증왕이 만듬

군- 현


5조 이소경

동원경 지금의 강릉

중원경 cf 중원고구려비 충주